아티스트/아티스트김수현

김수현-이승기-고수 ‘가을남자’ 변신 팁

이뽄 2012. 8. 25. 13:06

 

김수현-이승기-고수 ‘가을남자’ 변신 팁

[스포츠서울닷컴ㅣ이성훈기자] 어느덧 24절기 중 입추와 처서가 지나갔다. 불볕 더위가 엊그제같지만 부지런한 패션 피플들은 이미 가을을 준비하고 있다.

패션계에서도 이미 여러 스타들의 F/W 시즌 광고 및 화보가 눈길을 끌고 있다. 남녀 할 것 없이올 봄과 여름을 뜨겁게 달궜던 비비드 컬러의 유행을 벗고 차분한 색깔로 갈아입었다. 특히 남자들의 필수 아이템인 재킷의 중후한 컬러와 따뜻한 소재가 눈길을 끈다.

작년에 입었던 옷 그대로 가을과 겨울을 나는 남자들도 많겠지만, 그럴 듯한 재킷 하나쯤 장만하려고 생각 중이라면 스타들의 재킷 스타일을 참고해보자.

 

가을 남자로 변신한 남자 스타들의 스타일. 사진제공=조군샵, 지오지아, ZOOM, 인스
타일, 아날도바시니, 유끼커뮤니케이션, 싱글즈

 

김수현-김래원-이승기의 ‘가죽 재킷’

최고의 핫 스타 김수현은 모델로 활동중인 ‘지오지아’ 광고 컷에서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매고 블랙 블루종을 입어 젊은 비즈니스맨의 세련된 모습을 연출했다. 가죽의 빈티지스러운 매력과 세련된 정장이 어울려 독특하다.

블루종은 짧은 점퍼 스타일의 재킷을 말하는 것으로, 칼라가 터틀넥처럼 목까지 올라오는 것부터 재킷 칼라 스타일로 된 것까지 다양하다. 기본 색인 블랙 블루종은 가을의 시크한 분위기를 자아내기에 제격이다.

가죽 점퍼는 얼마 전 한여름에 맞지 않는(?) 공항 패션으로 화제가 된 배우 김재원도 일찍부터 선보였다. 흰 티셔츠 위에 짧은 브라운 컬러 가죽 점퍼를 걸친 김재원의 모습은 한여름에는 다소 의외라는 반응을 얻었지만, 가을 스타일로는 썩 훌륭하다.

재킷 스타일 칼라에 아래쪽이 몸에 피트되는 브라운 컬러의 점퍼는 가을에는 밋밋한 티셔츠 위에 하나만 걸쳐도 훌륭한 포인트가 된다.

배우 이승기 또한 최근 인스타일 화보에서 세련된 오렌지 컬러의 가죽 재킷을 입었다. 소매 끝의 안감이 블루로 롤업했을 때 포인트가 되는 트렌디한 디자인이다.

조군샵의 김광민 이사는 “가죽 재킷을 고를 때는 우선 칼라의 모양과 주머니의 수를 눈여겨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칼라가 터틀넥처럼 위로 많이 올라오면 보온성이 좋고 캐주얼한 느낌을 주며, 칼라가 목 아래로 내려와 있거나 테일러드 재킷의 스타일이면 슈트 재킷을 입은 듯이 포멀하다.

주머니의 수도 이미지에 큰 역할을 한다. 심플하게 기본적인 위치에 한두 개만 있으면 정장 같고, 여러 곳에 기능적인 주머니가 많이 달려 있으면 야외에서 입는 사파리 같은 느낌을 준다.

고수-김래원-김지석의 ‘정통 재킷’

가죽 재킷이 트렌디한 쇼핑 리스트에 올라간다면 수트 스타일의 정통 재킷은 누구나 갖고 있을 기본 아이템이다. 하지만 ‘기본’ 또한 다양하게 변주될 수가 있다.

배우 고수는 아날도바시니 화보에서 캐주얼하면서도 격식을 잃지 않은 영국풍 스타일을 선보였다. 포인트는 그레이, 블루 등 차분한 컬러의 재킷이다. 2030세대에게 가장 무난한 투 버튼 스타일의 기본 재킷은 단색 셔츠나 체크무늬 셔츠, 티셔츠를 가리지 않고 어떤 상의에든 잘 어울린다.

배우 김래원이 공항에서 선보인 화이트 재킷 또한 눈길을 끌었다. 흰 재킷에 더 흰 팬츠를 매치한 김재원의 스타일은 깨끗해 보이면서도 다리를 더욱 길어보이게 하는 효과를 준다.

연예인들 사이에서 ‘올 화이트’가 유행이라고 무조건 그대로 따라하는 것은 무리수다. 지나치게 튀는 새하얀 색깔보다는 아이보리나 베이지 계통의 재킷을 택하면 좀 더 안전한 수 있다. 포인트를 주고 싶다면 차이나 칼라로 변형된 스타일 또한 의외로 한국 남자들에게 잘 어울린다.

김지석이 최근 싱글즈 화보에서 선보인 화사한 감색 더블버튼 정장 또한 눈에 띄는 재킷 스타일을 보여준다. 감색은 남자들에게 기본 색상이지만, 조금만 밝아지면 상당히 화려해 보이므로 색깔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 감색 모직 재킷은 가을에 하나쯤 장만해 두면 와이셔츠나 넥타이, 니트 등 다양한 이너웨어와 매치할 수 있는 유용한 아이템이다.

 

 

 

출처:http://news.sportsseoul.com/read/emotion/1075355.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