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8년 2월 16일생. 중앙대학교에서 연기를 전공하고 있다.
외동아들인데 집에서는 무뚝뚝한 아들이다. 그래도 놀랐을 때는 나도 모르게 “엄마!” 하는 소리가 나더라.
고등학생때 처음으로 패스트 푸드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었다. 하교 후 일하러 가는 게 시간이 맞질 않아서 계속 지각을 하는 바람에 사흘 만에 잘렸다. 그래도 3일치 월급이 계좌로 들어왔는데, 정말 신나더라. 자식이 첫 월급을 받으면 부모님께 양말 선물 하는 거래서 엄마한테 양말을 사드렸는데... 안 신으시더라. 레이스 달린 걸 사 드릴걸 그랬나보다.
암벽 등반을 배운 적이 있다. 고등학생 때였는데, 진짜 자연 바위에 나가서 대회 참가도 했었다. 두 번째 코스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탈락을 했었지만...... 스킨 스쿠버도 배웠고, 평소에 쉽게 할 수 없는 운동들을 경험해 보려고 노력을 했었다.
MBC <김치 치즈 스마일>에 출연할 때, 수영부라는 얘기를 듣고도 상의 탈의에 대한 걱정은 없었다. 그런데 막상 촬영을 시작하니까 같이 하는 형들이, 어후, 너무 배가 막 갈라지고 몸이 이만큼 크고 그래서 놀랐다. 특히 (장)지우 형은 마네킹이라고 불릴 정도였다. 군대 갈 때도 신검에서 특급을 받은 걸로 안다.
SBS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에서 내가 가장 애착을 가졌던 장면은 수돗가에서 윤주에게 “관심은 없는데, 이상하게 자꾸 니가 눈에 들어오네”라고 말하는 신이다. 그 장면을 촬영할 때 감독님과 조명 감독님이 “어우, 신성일이야!” 하면서 놀리셨는데, 기분이 좋더라. 우리 어머니는 강진이가 상복 입은 지완이에게 거절당하고 와서 끙끙 앓는 장면을 가장 좋아하시더라.
강진이가 맨발로 걸어가는 장면을 찍을 때는 감독님이 일부러 길에 돌멩이를 좀 깔아 놓고 촬영을 하셨다. 그걸 밟으라고, 밟고 아파하라고 그러신 거다. 표정이 일그러지는 순간을 자연스럽게 잡아내려는 의도였는데, 매니저 형은 다칠까봐 안절부절이었다.
아쉬운 장면은 아무래도 2회에 강진이가 발을 만지다가 달을 보는 신이다. 카메라가 풀샷으로 쭈욱 뒷모습을 잡는데, 평소 습관처럼 등이 이렇게 굽어 있더라. 그걸 집에서 보면서 아이, 내가! 왜! 하고 좀 속상했지.
SBS <아버지의 집>을 촬영하기 전에는 겁을 많이 먹었다. 최민수 선배님부터 백일섭 선생님, 박원숙 선생님까지 같이 출연하시는데 내가 숨이나 쉴 수 있을까 싶었다. 그런데 선생님들이 정말 잘 챙겨 주셨고, 특히 백일섭 선생님은 직접 연기 방향을 일러주시기 보다는 재일이의 상황에 대해 잘 설명을 해 주셔서 큰 도움이 되었다. 정말 많은 것을 배웠다.
최민수 선배님은 내가 굳어 있는걸 아시고 긴장을 풀어주려고 많이 애써 주셨다. “(목소리 깔고) 검도 배울래?”하고 말도 걸어 주시고, 현장에서 감독님과 얘기하고 있으면 뒤에서 쿡 찌르고는 아닌 척 장난도 치시고. 그런데 연기할 때는 정말 몰입을 하신다. 대본 리딩 때부터 “나는 배우가 연기하는 모습이 아니라 <인간극장>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도록 작품에 임하겠다. 내가 그 사람이 되어서 보여주겠다”고 하셨었다.
시간이 날 때는 주로 집에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한다. 서투르지만 혼자 글도 써 보고. 영화도 본다. 조승우, 하정우, 류승범 선배님을 특히 좋아하는데, 내가 배우로서 좋아하는 요소들을 많이 갖고 계신 분들 같다.
사실 취향이 뚜렷하게 있는 것 같진 않다. 음악도 힙합은 이래서 신나고, 트랜스는 이래서 좋고, 발라드도 좋고, 장르를 가리지 않고 듣는다. 부를 때도 발라드를 불렀다가, 하드 코어를 부르기도 하고. 하핫.
평소에 감정 기복이 있는 편인데, 기쁠 때건, 슬플 때건 마음속에 숨기기보다는 모조리 발산해 버리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기분 좋을 때는 지나가는 걸인에게 없는 돈을 다 털어서 줄 정도고, 우울할 때는 죽고 싶을 정도로 감정에 빠져든다. 특히 울 때가 좋은데, 그래서 대본에 ‘눈물이 흐른다’라고 지문이 있으면 정말 좋다. 감정을 소진해 버릴 수 있으니까.
사진 찍는 걸 좋아한다. <김치 치즈 스마일>을 찍을 때 이병진 선배님의 카메라가 너무 멋있어서 구경하다가 여러 가지를 많이 배웠다. 지금 쓰는 니콘 D800도 이병진 선배님 덕분에 중고를 정말 싸게 구입 한 거다.
요즘처럼 눈이 많이 올 때는 사진 찍기에 참 좋다. 발자국 하나만 찍어도 “분위기 있다”고 감상을 갖다 붙이기 좋으니까 말이다. 으하하하하.
그런데, 크리스마스에는 항상 눈이 오는 거 아닌가? 언제나 화이트 크리스마스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지난 크리스마스에 뭘 했냐고? 으음... 그러니까... 그게....... 친구들 만나서, 노래방에 갔었다. 헤에.
출처: http://news.nate.com/view/20100112n15350
밤사이 내린 비에도 새싹은 훌쩍 자란다. SBS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의 어린 차강진을 연기한 김수현은 MBC <김치치즈 스마일>의 수현, KBS <정글피쉬>의 재타의 흔적이 희미해 질 정도로 물씬 낯선 분위기를 풍겼다. 짙은 눈썹과 새카만 눈동자, 동그랗게 빚어진 콧망울에 또렷하게 패인 인중까지 소년의 얼굴은 여전했지만, 눈빛과 어깨, 발자국에 뚝뚝 묻어나는 아련한 순정은 철부지의 것일 수 없는 온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SBS <아버지의 집>을 통해 좀 더 밝아진 그를 다시 만나는 순간, 깨닫게 된다. 연한 가지에 처음으로 맺힌 꽃봉오리. 단지 키가 자라는 것만으로는 자아낼 수 없는 그 아슬아슬함 때문에 그에게서 눈을 뗄 수 없는 것임을.
김수현이란 이름의 첫 꽃봉오리
카메라 밖에서도 김수현은 보는 이를 긴장시킨다. “저희 어머니가, 사실은....... 조금, 요즘 흔히들 말하는....... 그... 극성 엄마셨어요”라고 힘겹게 시작한 이야기는 외동아들이라서 어머니가 사랑을 많이 주셨고, 소극적인 성격을 고칠 겸 고등학생 때부터 극단에서 연기 수업을 받도록 인도해 주신 것도 어머니라는 지극히 훈훈한 이야기로 이어진다. 남자치고는 어려보이는 외모와 굵직한 목소리의 부조화가 가져오는 이미지의 충돌을 스스로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는 제법 예리한 분석을 말하면서도 그가 내뱉은 첫마디는 “저는, 사실 좀, 겉과 속이 다릅니다”라는 의미심장한 문장이다. 심지어 질문을 듣다가도 서슴없이 “그런데, 그 옴므파탈이 정확히 무슨 뜻이에요?”라고 궁금한 걸 묻고는 “음, 그러면 그 단어는 비에게 굉장히 잘 어울리는 말이네요!”라고 나름의 이해를 정리한다.
다른 사람이 별 수 없이 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만드는 그 힘은 사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김수현이 다듬어 온 비장의 카드다. “연기를 하면서 많이 욕심을 내고 고민을 하는 건 캐릭터로서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거예요. 저거, 좀 묘하다. 제법 기억에 남는다. 그런 이야기를 듣고 싶어요. 그래서 눈빛이나 목소리로 사람을 밀고 당길 수 있게 몰입을 많이 하는 편이에요.” 필살의 비기가 될지도 모르는 이야기를 진지하게 풀어 놓는 그 솔직함은 순진무구하다. 그리고 “제가 연기하는 인물이나 역할은 전부 ‘김수현’이 기본이에요. 저에서 출발해서 인물을 만들어 내는 거죠. 누가 봐도 김수현 같을 수 있도록”이라는 설명은 작품 안팎으로 서서히 완성되어가는 김수현이라는 캐릭터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강진과 수현, 재일과 재타를 겹쳐놓은 교집합,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표정과 말투가 거기 있는 것이다.
“앞으로 한동안은 쉴 틈 없이 달리고 싶어요”
막 가속이 붙은 성장을 스스로도 알고 있는지 김수현은 “앞으로 한동안은 쉴 틈 없이 달리고 싶어요”라고 포부 밝힌다. 그래놓고서 “제가 청춘이라는 말에 민감하거든요. 제가 지금 청춘이잖아요. 그런데, 여자 친구는........”이라며 문장을 마치기도 전에 눈물을 닦는 시늉을 할 때, 영락없는 스물셋의 장난스러움이 유쾌하다. 그러나 “사실 어떤 역할이든 다 하고 싶지만, 기회가 된다면 조금 더 강진이 같은 역할, 남자 냄새가 나는 역할을 해보고 싶어요”라고 소망을 말할 때, “겁 없이 할 수 있으니까, 어린 애들이 연기를 더 잘한다고 하잖아요. 그런대 제 나이가 조금 알기 시작하면서 겁먹고, 달려들지 못하고 그런 때인 것 같아요”라고 스스로 뛰어넘어야 할 벽을 짚어낼 때, 그의 목소리는 진지하기 그지없다. 그래서 김수현은 여전히 종잡을 수 없는 사람이지만, 그가 피워낼 꽃의 크기는 어림잡아 그릴 수 있을 것 같다. “저는 좀 야심가에요. 나중에...”라고 싱긋 웃으며 뜸을 들이다가 “하하하. 세계정복이 꿈이라고 말할 뻔 했어요!”라고 결국엔 웃어버렸지만, 사람은 꿈꾸는 만큼 자라는 법이다.
출처: http://news.nate.com/view/20100112n15342
'아티스트 > 아티스트김수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스광고 모델로 인터뷰영상 (0) | 2012.05.10 |
---|---|
김수현 & 카야 스코델라리오 제이에스티나 광고 촬영 현장이야기 (0) | 2012.05.10 |
Kim soo Hyun/ Beyond making 비욘드메이킹 (0) | 2012.05.10 |
이것이 진정 꽃을든 남자롤세~~~~~~~~~ (0) | 2012.05.09 |
빈폴아웃도어 김수현 패션화보가 영상 (0) | 2012.05.09 |